01. 배열 속성 : length : 배열 길이 구하기 : 반환(숫자) 번호 기본값 속성 결괏값 { const arrNum = [100, 200, 300, 400, 500]; const arrNumLength = arrNum.length; document.querySelector(".sample01_R1").innerHTML = arrNumLength; const arrText = ['a', 'b', 'c', 'd', 'e']; const arrTextLength = arrText.length; document.querySelector(".sample01_R2").innerHTML = arrText.length; const arr = [1, 2, ['a', 'b']]; const arrLength = a..
01. if문 { //조건문 *중요함//true, false, 1, "1", 0, "0", null, undefined, [], {} if(true){ 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니다.(true)"); } else { 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니다.(false)"); } } 결과보기 실행되었습니다.(true) 02. if문 생략 { const num = 100; if( num == 100 ) 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니다.(true)"); else 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니다.(false)"); } 결과보기 실행되었습니다.(true) 03. 다중 if문 { const num = 100; if( num == 90 ){ 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..
01. 선언적 함수(기본 문법) { function func(){ document.write("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"); } func(); } 결과보기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 02. 익명 함수 { const func = function(){ document.write("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"); } func(); } 결과보기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 03. 매개변수 함수 { function func (str){ //2번 document.write(str); //3번 } func("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"); //1번 } 결과보기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 04. 리턴값 함수(리액트, 뷰-필수) { function func (){ const str = "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"; return str; } d..
01. 변수 : 데이터 저장 { let x = 100, y = 200, z = "javascript"; document.write(x); document.write(y); document.write(z); } 결과보기 100 200 javascript 02. 상수 : 데이터 불러오기 { const x = 100, const y = 200, const z = "javascript"; document.write(x); document.write(y); document.write(z); } 결과보기 100 200 javascript 03. 배열 : 데이터 불러오기 { const arr = [100, 200, "javascript"]; document.write(arr[0]); document.write(arr..
01. 변수 : 데이터 저장 { var x = 100; //변수 x에 숫자 100을 저장 var y = 200; //변수 y에 숫자 200을 저장 var z = "Javascript"; //변수 z에 문자 Javascript를 저장 document.write("*** 01. 변수 ***"); document.write(x); document.write(y); document.write(z); } 결과보기 100 200 Javascipt 02. 변수 : 데이터 저장 + 데이터 변경 { let x = 100; let y = 200; let z = "Javascript"; x = 300; y = 400; z = "jquery"; document.write("*** 02. 변수 ***"); document.wr..
함수 란? 변수에는 데이터만 저장할 수 있고, 코드는 저장할 수 없습니다. 하지만 함수를 사용하면 코드를 메모리에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 함수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저장합니다. function이라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선언합니다. 출력문, 제어문 등의 코드를 저장하고 데이터를 반환합니다. 선언적 함수 기본 함수 정의문 함수를 사용하여 코드를 저장한 것을 '함수 정의문' 이라고 합니다. 변수를 선언할 때 var 키워드를 사용한 것처럼 함수에서는 function 키워드를 사용해 변수를 선언합니다. 기본형 function 함수명 (){ 자바스크립트 코드; } 함수 정의문({...}) 안에 작성된 코드는 즉시 실행되지 않습니다. 함수는 메모리에 할당되어 대기하고 있다가 함수가 호출되..
반복문 반복문을 이용하면 코드를 원하는 횟수만큼 반복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. 반복문에는 while문과 do while문 for문이 있습니다. while문 while문은 조건식을 만족할 때까지 코드를 여러 회 반복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. while문은 조건식을 만족할 때까지 중괄호 {...} 안에 있는 코드를 반복하여 실행합니다. while문의 실행 순서는 1.조건식을 검사하고, 만족하면 2.중괄호 안에 있는 코드와 증감식을 실행합니다. 그리고 3.다시 조건식을 검사합니다. 기본형 var 변수=초깃값; while(1. 3. 조건식){ 2. 자바스크립트 코드; 증감식; } 적용 예제 while문의 조건식 i
연산자 연산자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계산하는 작업을 의미하는 기호들 입니다. 연산자에는 산술, 문자 결합, 대입(복합 대입), 증감, 비교, 논리, 삼항 조건 연산자가 있습니다. 빼기, 더하기, 곱하기, 나누기, 비교 등 을 하는 일련의 작업을 연산 작업 이라 합니다. 산술연산자 산술 연산자에는 더하기(+), 빼기(-), 곱하기(*), 나누기(/), 나머지(%)가 있습니다. 산술 연산자로 연산을 하기 위해서는 연산 대상 데이터가 반드시 2개 있어야 합니다. 산술 연산자의 종류와 기본형 종류 기본형 설명 + A+B 더하기 - A-B 빼기 * A*B 곱하기 / A/B 나누기 % A%B 나머지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에는 ||(or), &&(and), !(not)이 있으며, 논리 연산자는 피연산자가 논리형데이..
데이터 타입(자료형) 변수에는 여러가지 유형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. 프로그램 언어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며, 데이터 타입이라고 합니다. 데이터 타입에는 숫자, 문자열, 논리값, 특수값, 심벌, 객체, 함수 등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. typeof typeof는 지정한 데이터 또는 변수에 저장된 자료형을 알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. typeof 변수 또는 데이터; 숫자(Number) 숫자형(Number) 데이터는 단어 의미 그대로 숫자를 의미합니다. 만약"100"과 같이 큰따옴표가 숫자를 감싸고 있다면숫자가 아닌 문자형 데이터 입니다. 이 경우에는 Number("100")를 이용하면 문자형 데이터를 숫자형 데이터로 바꿀 수 있습니다. var 변수=숫자; 또는 Number("문자형 숫자"); var s=1..